해외 사례에서 배우는
한국 퇴직연금의 미래

By. 오통수
▶ 노후 자산의 핵심이 될 퇴직연금, 제도와 운용 방식에 따라 성과는 크게 달라집니다.
▶ 미국, 영국, 호주 사례를 보면 공격적 투자와 자동 자산배분 제도가 안정적인 장기 성과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 특히 TDF(Target Date Fund)처럼 생애주기에 맞춰 자동으로 자산을 조정하는 전략은 한국 퇴직연금 발전에도 중요한 해법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경제상식 파트너 오통수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기금형 퇴직연금 도입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이번에는 기금형 퇴직연금 제도를 이미 도입한 해외 사례들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 [참고글] 퇴직연금 시장의 지각변동(1편): 기금형 제도와 푸른씨앗 성과
미국, 영국, 호주는 사적 연금제도가 발달하여 우리나라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높은 퇴직연금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의 경우 대표적인 401K 퇴직연금의 5년 평균 수익률은 9.7%로 발표되어, 2%대에 불과한 우리나라 퇴직연금 수익률 대비 4배 이상의 성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자료: 국민연금연구원, 업계, KB자산운용 / 클릭 시 관련 기사로 이동
이처럼 해외의 퇴직연금은 물가상승률을 넘어서는 성과를 보여주어 가입자들의 자산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연금 백만장자'라는 용어도 흔히 쓰이고 있습니다.
오늘은 저와 함께 해외의 퇴직연금 제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퇴직연금 아직도 방치해두고 있다면!?
▲ 클릭 시 KB자산운용 퇴직연금 관리 노하우 라이브 웹세미나로 이동
■ 해외의 퇴직연금 제도 사례
① 호주
가장 먼저 알아볼 사례는 바로 호주입니다.
호주는 퇴직연금 성공 사례로도 많이 언급되고 있으며, 기금형 퇴직연금제도의 대표적인 국가입니다.
호주의 퇴직연금은 슈퍼애뉴에이션(Superannuation)이라고 불립니다.
1992년부터 시작된 이 제도가 호주의 퇴직연금 산업을 본격적으로 성장시킨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규모가 3,000조원이 넘는 기금형 퇴직연금 제도입니다.
우리나라 국민연금이 약 1,200조원 규모인데, 국민연금과 비교해도 대략 3배 정도 되는 매우 큰 규모입니다.
슈퍼애뉴에이션은 월 450 호주달러 이하 소득을 얻는 근로자와 18세미만 비정규 근로자, 65세 이상 근로자를 제외한 모든 사람이 의무가입대상입니다.
가입자는 기업형기금과 산업형 기금, 공적 기금, 소매형기금, 자기관리기금 등 5가지 기금 중에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기금에 따라 근로자의 배우자도 가입할 수 있습니다.
● 게시물 하단 첨부파일 참고
< 슈퍼애뉴에이션 연간 수익률 현황 >
(출처: 호주연금신탁 / 클릭 시 호주연금신탁 홈페이지로 이동)
위 자료는 20년 동안 호주 슈퍼애뉴에이션 연금에 투자했을 때의 연간 수익률 현황입니다.
2007년에서 2008년 금융위기 때 무려 10% 이상 하락하는 연간 수익률을 보여주었지만, 2021년 금리 인하시기에는 연간 수익률이 20%를 돌파하며 시장의 흐름에 따라 등락이 있는 모습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년간의 평균 수익률을 계산했을 때 연간 7.88% 수준의 수익률이 나오게 되는데요, 물가 상승률을 연간 3%로 가정하면 이를 4.88%p 상회하는 수익률이죠.
< 호주 슈퍼애뉴에이션 Balanced 옵션 포트폴리오 >
(출처: 호주연금신탁 / 클릭 시 호주연금신탁 홈페이지로 이동)
포트폴리오 구성을 살펴보면, 호주를 비롯한 글로벌 자산에 분산투자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공격적, 방어적 자산의 비중을 7:3 정도로 구성하여 중장기 투자에 적합한 자산배분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② 미국
두 번째 사례는 바로 미국입니다.
미국은 연금 천국이라고도 불릴만큼 연금제도가 발전한 나라인데요, 역사도 140년이 넘고, 연금제도도 여러가지 형태가 존재합니다.
현재 미국의 퇴직연금 제도는 사회보장연금(Social Security)과 공적연금(Pension), 일부 사적연금, 그리고 401(k)로 통용되는 확정기여(DC)형 사적연금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것이 바로 401(k) 제도입니다.
미국은 3~40년 전만 해도 대부분의 퇴직연금이 확정급여(DB)형 이었습니다.
그러다가 조세법에 임금 노동자의 연금 납입액을 소득세에서 면제하자는 코드 401(k) 조항이 생기면서, 본격적으로 DC형이 자리잡게 되었다고 합니다.
현재 401(k)가 미국 퇴직연금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70%가 넘고, 규모도 약 9조 달러로 알려져 있습니다.
미국의 401(k) 퇴직연금에서 주로 투자하는 자산은 예금과 같은 원리금보장형 상품보다는 주식이나 TDF라고 하죠.
▲ [참고글 - TDF란?] 연금 투자, 퇴직연금 계좌 어디에 투자할까 - KB TDF로 은퇴준비 완성
미국은 2006년에 적격디폴트옵션(QDIA) 제도가 도입되어 DC형 퇴직연금을 운영하는 사업자에게 투자손실에 대한 면책조항을 주었다고 합니다.
그렇기에 퇴직연금에 조금 더 공격적이고 적극적인 투자가 가능했던 것이죠.
< 미국의 전체 퇴직연금 자산 규모 >
(출처: ICI리서치 / 클릭 시 관련 자료로 이동)
③ 영국
마지막 사례로 알아볼 국가는 바로 영국입니다.
영국은 퇴직연금이 꽤 잘 자리잡혀 있는 국가 중 하나입니다.
영국의 퇴직연금 하면, 연금의 퇴직연금 전문기관인 NEST(국가 퇴직연금신탁, National Employment Savings Trust)를 빼놓을 수 없는데요.
NSET는 우리나라의 국민연금처럼 퇴직연금을 전문적으로 운용하는 공공기관입니다.
물론 영국에도 DB형, DC형의 퇴직연금이 운영되고 있지만, NEST 제도는 영국에만 있는 특별한 제도입니다.
퇴직연금 가입자 약 2,300만명 중 절반 이상이 NEST 제도를 활용하고 있고, 우리나라의 TDF 같은 영국의 RDF 상품에 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RDF는 Retirement Date Fund의 약자로, 가입자의 예상 은퇴시기에 맞춰 자산배분을 자동으로 조정해주는 펀드입니다.
우리나라의 퇴직연금 제도 중 디폴트옵션과 비슷한데요, 이 상품은 디폴트 펀드라고 불리며, 퇴직연금 가입자가 따로 운용지시를 하지 않는 경우 이 상품으로 운용된다고 합니다. 실제로 NEST 가입자의 90% 이상이 RDF 상품을 통해 퇴직연금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 [참고글 - 디폴트옵션이란?] 연봉 올리기보다 쉬운 세금 줄이기 下 편 – TDF와 디폴트옵션
< 영국 NEST 제도 가입자 수 >
(출처: NEST 보고서 / 클릭 시 관련 기사로 이동)
영국의 RDF 상품은 30년을 기준으로 4단계로 운용 전략이 달라진다고 하는데요.
기반형성 단계 → 성장단계 → 안정화 단계 → 은퇴 이후 단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초기에는 기여금을 충분히 쌓아서 물가 상승률 이상의 수익을 목표로 하고, 이후에는 주식과 채권 비중을 유동적으로 조절하여 변동성을 관리한다고 하죠.
어떻게 보면 우리나라의 TDF도 은퇴 시점에 따라 빈티지(TDF 2030, 2040 ,2050 등)가 달라지고, 빈티지 유형에 따라 투자 전략이 다른 부분이 비슷하다고 볼 수 있겠네요.
▲ [참고글 - TDF 빈티지란?] 연금투자를 위한 TDF 펀드 사용 설명서 - 2050, 2040.. 뒤에 붙은 숫자가 궁금해?
RDF2040의 10년 연평균 수익률이 9.2%라고 하니, 충분히 물가상승률 이상의 성과를 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마치며
오늘은 퇴직연금의 기금형 도입에 따른 해외 국가들의 퇴직연금 사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국가별로 다양한 제도들이 있지만 그 중에서 대표적인 제도를 하나씩 정리해 보았는데요.
흥미롭게도 미국의 401(k)와 영국의 RDF 모두 생애주기에 맞춘 자산배분 전략을 활용한다는 공통점이 있었습니다.
특히 해외 사례에서 핵심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TDF(Target Date Fund)는 개인의 은퇴 예정 시기에 맞춰 투자 포트폴리오를 자동으로 조정해주는 퇴직연금의 핵심 운용 상품입니다.
젊은 시절에는 주식 비중을 높여 적극적으로 자산을 늘리고, 은퇴가 가까워질수록 채권 비중을 늘려 안정성을 확보하는 생애주기 투자전략을 통해 별도의 투자 지식 없이도 전문적인 자산관리를 받을 수 있어 퇴직연금 가입자들에게 최적의 선택지입니다.
▲ [참고글] 연금자산과 TDF - 장기투자에 유리한 TDF, 상품 선택 팁은?
퇴직 후의 중요한 소득수단이 될 수 있는 연금 자산은 모두에게 중요합니다.
우리나라도 퇴직연금의 제도 개선을 바탕으로 모두가 연금 부자가 되면 좋겠습니다.
그럼 저는 다음 시간에 다른 주제로 또 인사드리겠습니다!
Compliance notice
※ KB자산운용 준법감시인 심사필 '투자정보 2025_1556(라)' (2025.09.22~2026.09.21)
※ 본 자료는 고객의 투자에 참고가 될 수 있는 각종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제작되었습니다. 본 자료는 계량적 분석에 근거한 의견을 제시하며, 당사의 대표 투자의견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 본 자료는 합리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된 것이지만, 투자 권유의 적합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투자 판단의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며, 본 자료는 어떠한 경우라도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본 자료는 현재의 시장 상황을 감안하여 참고용으로만 제시된 것이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자 개인의 의견이 반영된 것입니다. 당사는 관련 법령에 허용된 범위 내에서 투자 전략 및 투자 프로세스를 결정하므로, 본 자료에 기재된 사항 중 관련 법령 및 계약서의 내용과 상이한 것은 효력이 없습니다.
※ 본 자료는 당사의 저작물로서 모든 지적재산권은 당사에 귀속되며 당사의 동의 없이 복제, 배포, 전송, 변형, 대여할 수 없습니다. 본 자료를 KB자산운용 임직원 외의 자로부터 입수하였을 경우, 자료 무단 제공 및 이용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해당 제공자 및 이용자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