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펀드맵 펀드찾기

인기펀드

동안
자금유입액이 가장 많은 상품입니다.
기준일 : (운용펀드 기준)
전체보기
동안
수익률이 가장 높은 상품입니다.
기준일 : (운용펀드 기준)
전체보기
동안
클릭수가 가장 많은 상품입니다.
기준일 : (운용펀드 기준)
전체보기

검색 BEST

동안
가장 많이 검색된
검색어 입니다.
검색어 클릭 시 ‘통합검색’의 결과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기준일 : 통합검색 바로가기

장바구니

  • 최신순으로 10개까지 장바구니에 추가됩니다.
  • ‘장바구니’에 담긴 상품은 웹 캐시(cache) 삭제 시 자동 삭제됩니다.
  • 펀드 상품을 비교하려면 체크박스 선택 후 ‘선택 상품 비교’ 버튼을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최소 2개 ~ 최대 3개까지 비교 가능)

투자 아이디어

  1. Insight & View
  2. 투자 아이디어
금융현직자 이야기

자가면역질환, 비만, 당뇨, 알츠하이머까지 - 바이오 투자의 기본, 글로벌학회 (2부)

등록일
2025-07-30
글로벌 바이오 학회
 
자가면역부터 알츠하이머까지
 
 이프

                                          By. 이프
 
▶ 자가면역질환, 비만/당뇨, 알츠하이머 분야는 EULAR, ADA, AAIC 등의 학회를 통해 신약개발 동향과 임상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최신 학회 정보는 바이오 투자에 중요한 인사이트와 기회를 제공하죠.
 
▶ 이러한 정보를 활용, 시장을 이끄는 K-바이오 대표 기업에 투자하고 싶다면 RISE 바이오 Top10 액티브 ETF를 주목하세요!
 

 
안녕하세요 '이프' 입니다.
 
지난 포스팅을 통해 항암 관련 학회들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는데요!
 
오늘 포스팅에서는 항암 분야 외 다른 질환 관련 학회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려 합니다.
 
 지난 포스팅 보기
 
바이오 트렌드: 글로벌 항암 학회 총정리 - 바이오 ETF (1부)
 
 
 
 
 

■ 항상 꾸준한 분야, 자가면역질환의 대들보 EULAR
 
유럽류마티스학회
(출처: Eular 공식 홈페이지, 클릭 시 Eular 홈페이지로 이동)
 
항암을 제외하고 가장 큰 치료제 시장을 구성하는 질병은 자가면역질환입니다.
 
자가면역질환을 대상으로 한 글로벌 주요 학회에는 EULAR가 있습니다.
 
Eular는 European Alliance of Associations for Rheumatology의 약자로, 유럽 류머티스 학회입니다.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는 한 가지 질병에만 사용하지 않고, 류머티스 질환을 포함하여 다른 적응증에도 많이 활용되므로, 최신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동향을 살펴볼 수 있는 곳이 EULAR입니다.
 
Eular는 삼성바이오에피스, 셀트리온과 같은 국내 바이오시밀러 업체들과 연관이 있습니다.
 
바이오시밀러 시장은 최근들어 급격하게 성장하기 시작했는데, 여기는 휴미라, 스텔라라 등의 블록버스터 자가면역질환 치료제의 특허 만료로 해당 품목의 바이오시밀러가 출시되기 시작하는 부분이 크게 기여했습니다.
 
오리지널의약품의 특허만료에 맞춰 셀트리온을 비롯한 바이오시밀러 제품의 동등성 데이터들이 Eular를 통해 공개된 바 있습니다.
 
한편, 미국에서 개최되는 ACR(American College of Rheumatology)는 미국을 대표하는 류머티스 학회로, Eular와 함께 자가면역질환 관련 글로벌 표준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최근 관심도 최상! - 비만, 당뇨 학회
 

미국 당뇨병 학회
(출처: ADA 공식 홈페이지, 클릭 시 ADA 홈페이지로 이동)
 
항암, 자가면역 질환만큼 큰 시장을 형성하지는 않지만, 최근 들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분야는 비만/당뇨입니다.
 
위고비의 대성공으로 본격 개화한 비만치료제 시장과 함께, 인기가 급상승한 비만/당뇨 분야의 글로벌 최대 학회는 바로 ADA(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미국 당뇨병 학회입니다.
 
ADA는 매년 6월 미국에서 개최되는데, GLP-1 RA를 필두로 비만 시장이 커지면서 ADA의 위상은 점점 올라가고 있습니다.
 
삭센다(Saxenda), 위고비(Wegovy)로 현재 비만치료제 시장 1위를 지키고 있는 노보노디스크와, 마운자료(Moungaro)로 노보노디스크의 아성을 깨기 직전인 일라이릴리의 각축전이 벌어지고 있는 비만치료제 시장은, 여러 빅파마와 바이오텍이 참전하면서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 관련 콘텐츠 보기
 
비만치료제 시장의 두 공룡 - 위고비의 노보노디스크, 젭바운드의 일라이 릴리 (2부)
 
덕분에 자연스레 ADA에서 굵직한 임상 데이터 발표가 연이어 이뤄지고 있습니다.
 

2025 ADA를 통해 공개되는 한미약품 데이터
2025 ADA를 통해 공개되는 한미약품 데이터 (출처: 한미약품 공식홈페이지, 클릭 시 관련 보도자료로 이동)
 
23년, 일라이릴리는 ADA에서 레타트루타이드(Retatrutide)를 공개하며 GLP-1 다중작용제 시대를 본격적으로 보여주었고, 올해 ADA에서는 GLP-1 계열 비만치료제의 근육감소 부작용을 감소시키는 액티빈 타겟 치료제 비마그루맙(Bimagrumab)의 데이터가 공개되었습니다.
 
국내 회사들 역시 최근들어 ADA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한미약품은, 이번 ADA 학회에서 GLP-1 다중작용제 LA-TRIA의 임상 1상 초기 데이터와 UCN2 타겟 근육감소억제 치료제의 전임상 데이터를 공개하며, 두 물질의 패키지 기술이전 딜을 위해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습니다.
 
 
 
 
 

■ 본색을 드러내는 다크호스, 알츠하이머 AAIC 학회
 
알츠하이머협회 국제 학술대회
(출처: AAIC 공식 홈페이지, 클릭 시 AAIC 홈페이지로 이동)
 

오랫동안 미지의 영역이었지만, 최근들어 본격적으로 치료제가 개발되며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분야는 바로 알츠하이머입니다.
 
AAIC는 Alzheimer's Association International Conference의 약자로, 알츠하이머 및 기타 치매 질병에 대해 연구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알츠하이머 협회 국제 학술대회입니다.
 
아두카누맙(Aducanumab)이 아쉬운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아밀로이드 베타를 타겟으로 하는 항체 치료제인 레카네맙(Lecanemab), 도나네맙(Donanemab)이 상업화에 성공하면서 알츠하이머는 다시 신약 연구의 중심으로 떠올랐습니다.
 
아직 정복되지 않은 질병인 알츠하이머 치료의 최신 트렌드를 볼 수 있는 AAIC는 올해 7월, 토론토에서 개최될 예정입니다.
 
최근에는 BBB(Blood-Brain Barrier, 뇌혈관장벽)를 효과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돕는 플랫폼 기술들이 각광을 받고 있는데요.
 
기존에는 뇌까지 도달하지 못했던 약물들이 뇌에서 효과를 발휘하는 모습이 확인되며, 알츠하이머 치료제 연구가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올해 AAIC 역시, 의미 있는 데이터를 많이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한몸에 받고 있습니다.
 
 
 
 
 

■ 마치며
 
지난 포스팅에 이어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가면역질환, 비만/당뇨, 알츠하이머 주요 학회들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학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많은 모멘텀과 인사이트는 바이오 투자에 있어 많은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바이오 분야의 혁신적인 발전과 투자 기회들이 계속해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바이오 기업들 역시 글로벌 무대에서 주목받는 성과를 거두고 있죠.
 
글로벌 바이오 시장의 트렌드를 이끄는 K-바이오 대표기업, RISE 바이오 Top10 액티브 ETF로 투자해보세요!
 
RISE 바이오 TOP10 액티브 ETF

▲ 클릭하면 상품 소개 화면으로 이동
 
 

 
 
 
 
 
■ 참고 글
 
▶ 세르프, 덴서티, 실펌 - 캐시카우 확실한 미용의료기기 업체의 상장폐지 이야기
 
▶ 방사성의약품 전쟁 시작은 지금부터! 방사성 의약품 산업 뜯어보기

 


 
[출처]
· 하나투자증권 '펩타이드 약물의 기술 구분과 파트너링 전략 (김선아 애널리스트)' 2025.06
· 한미약품 '혁신, 또 혁신... 한미 ADA 2025서 비만 혁신신약 연구 릴레이 공개' 2025.06
· 바이오스펙테이터 '한미, GLP/GIP/GCG ADA 공개 1상 '4% 후반 체중 감소' 2025.06
· 바이오스펙테이터 '레이저티닙 vs 타그리소 3상 세부 WCLC 첫 공개' 2024.08
 


 
Compliance notice
※ KB자산운용 준법감시인 심사필 '투자광고 2025_1088(다)' (2025.07.11~2026.07.10)
※ 본 자료는 고객의 투자에 참고가 될 수 있는 각종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제작되었습니다. 본 자료는 계량적 분석에 근거한 의견을 제시하며, 당사의 대표 투자의견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 본 자료는 합리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된 것이지만, 투자 권유의 적합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투자 판단의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며, 본 자료는 어떠한 경우라도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본 자료는 현재의 시장 상황을 감안하여 참고용으로만 제시된 것이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자 개인의 의견이 반영된 것입니다. 당사는 관련 법령에 허용된 범위 내에서 투자 전략 및 투자 프로세스를 결정하므로, 본 자료에 기재된 사항 중 관련 법령 및 계약서의 내용과 상이한 것은 효력이 없습니다.
※ 본 자료는 당사의 저작물로서 모든 지적재산권은 당사에 귀속되며 당사의 동의 없이 복제, 배포, 전송, 변형, 대여할 수 없습니다. 본 자료를 KB자산운용 임직원 외의 자로부터 입수하였을 경우, 자료 무단 제공 및 이용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해당 제공자 및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 투자자는 투자 의사결정을 하시기 전에 반드시 집합투자규약 및 투자설명서를 수령하여 상품의 내용을 충분히 인지한 후 투자 결정하시기 바라며, 투자 전 판매 회사의 충분한 설명을 청취하시기 바랍니다.
※ 집합투자증권은 운용 결과에 따라 투자원금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집합투자증권을 취득하시기 전에 투자대상, 보수·수수료 및 환매방법 등에 관하여 (간이) 투자설명서를 반드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 이 금융투자상품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보호되지 않습니다.
※ 증권거래비용, 기타비용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RISE바이오Top10액티브ETF: 위험등급2등급, 총 보수 연 0.5% (지정참가회사 : 0.001%, 집합투자 : 0.459%, 신탁 : 0.02%, 일반사무 : 0.02%)
이전글
바이오 트렌드: 글로벌 항암 학회 총정리 - 바이오 ETF (1부)
다음글
한미 관세협상 그 후, 한일 FTA와 CPTPP 무역협정 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