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관련주
6배 폭등의 이유
▶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관련주가 신고가를 기록하며 큰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 미국의 암호화폐 규제 명확화와 정책 지원이 시장 열풍의 주요 원인이죠.
▶ 국내에서는 KB 글로벌 디지털체인 경제 펀드로 블록체인 생태계에 간접 투자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데이터로 인사이트를 찾는 데사이트입니다.
최근 비트코인이 역사적 신고가를 돌파했습니다.
■ 암호화폐 관련주 폭등 현황
그런데 코인만 오르고 있을까요?
아니죠! 암호화폐와 관련된 주식들 또한 놀라운 성과를 보여주고 있는데요,
어떤 종목들이 주목받고 있는지 한번 살펴볼까요?
◎ MicroStrategy(MSTR)
비트코인을 굉장히 많이 보유한 기업으로 이슈가 됐었죠?
보유한 비트코인만 약 601,550 BTC (약 7,320억 달러)에 달합니다.
2025년 들어 주가는 무려 55%나 상승했어요.
비트코인(+28.5%)보다 더 큰 폭으로 오르며 시장 기대감이 많이 반영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죠.
◎ Coinbase(COIN)
◎ Robinhood Markets(HOOD)
대표적인 미국의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기업입니다.
암호화폐의 기대감이 커짐에 따라 엄청난 상승세를 보이고 있어요.
◎ SharpLink Gaming(SBET)
지금까지는 여러 코인 중 '비트코인'에 관해서만 주로 다뤘는데요, 이 기업은 '이더리움' 특화 기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최근 280,706ETH (약 8.4억 달러)를 보유하며, 이더리움 재단을 제치고 최대 ETH 보유기업이 되었습니다.
주가는 최근 일주일 내 6배 급등락을 보일 정도로 변동성이 컸던 종목입니다.
그만큼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 종목이라 할 수 있겠죠.
사실 이 기업은 이더리움 공동 창업자가 회장인 기업이며, 이더리움 매수 전략에 대해서 발표한 바 있습니다.
기존에 비트코인을 대량 보유했던 MSTR이 주목받았던 것 같이, 이더리움 대량 보유로 큰 관심을 받고 있는 것 같습니다.
■ 암호화폐 관련 투자 전략
관련한 종목들이 이 외에도 많이 있는데요, 모든 종목을 공부해서 투자한다는 것은 쉬운일이 아니죠.
최근 주목받고 있는 ETF 중 코인 관련 종목이 다수 포함된 ETF가 있어 짧게 소개드리려고 합니다.
바로 ARK Investment의 ARKK인데요.
캐시우드(Cathie Wood)가 이끄는 회사의 대표 액티브 ETF로, '파괴적 혁신(disruptive innovation)' 기업에 주로 투자합니다.
최소 65% 이상을 AI, 로보틱스, 블록체인, 핀테크, 우주/자율주행 등 신기술 기업에 집중 투자하는데요,
이 중 암호화폐 관련 종목으로는 대표적으로 Coinbase(COIN)와 Circle(CRCL)이 포함되어 있어요.
한편, 국내에는 암호화폐 관련주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상품이 아직 없어 아쉬운데요,
자본시장법 상 가상자산은 금융자산의 기초 자산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대신 블록체인과 디지털자산 생태계 전반에 투자하는 방법으로 간접적인 수혜를 얻을 수 있는데요,
그 상품이 바로 KB 글로벌 디지털체인 경제 펀드입니다.
▼ 상품 자세히 보기 (클릭) ▼
코인 관련주에 직접 투자하는 것 보다는 변동성이 낮기 때문에 특히 연금자산을 운용하신다면 중장기 성장 테마에 안정적으로 투자한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죠.
이미 2021년 9월부터 출시되어 운용중인 이 펀드는,
ㆍ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하거나, 생태계에 기여하는 글로벌 기업에 투자하는 BNCN(Siren Nasdaq NexGen Economy ETF)을 비롯해,
ㆍ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디지털 자산 생태계의 하드웨어 인프라를 제공하는 엔비디아, TSMC, 마이크론,
ㆍ 그리고 블록체인 기술을 금융, 결제, 공급망, IT 인프라 등 다양한 영역에 적용하고 있는 나스닥, 메타, 월마트, 아마존 등
글로벌 기업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국민은행, KB증권, 유안타증권, IBK투자증권, 우리투자증권 등 판매사를 통해 가입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잠깐, 여기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지금 왜 암호화폐 시장이 이렇게 열풍일까요?
■ 미국 "크립토 위크"
암호화폐 정책 지원 신호
가장 핵심적인 이유 중 하나는 미국이 암호화폐 시장에 대해 명확한 지지 신호를 보내고 있기 때문입니다.
최근 미국 하원이 7월 14일부터 18일까지를 'Crypto Week(암호화폐 집중 처리 주간)'으로 지정했습니다.
3개의 법안인데요, 법안별로 간단하게 정리해보자면..
◎ CLARITY Act (Digital Asset Market Clarity Act of 2025)
코인이 투자상품인지, 거래용 디지털 자산(상품)인지 법적으로 명확화
→ 규제기관 정의 (증권성 자산으로 분류된다면 SEC(미국 증권거래위원회)의 규제를, 디지털 상품이라면 CFTC(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의 규제를 받습니다)
◎ Anti-CBDC Surveillance State Act
연준(FED)의 CBDC(디지털달러) 발행 금지
→ 시민의 프라이버스 보호를 위한 조치 및 정부의 과도한 금융 감시 방지 목적
◎ GENIUS Act
스테이블 코인에 대한 연방 규제 확립
→ 발행 요건 강화(미국 달러 현금 또는 단기 국채 등 안전하고 유동성 높은 자산으로 준비금 전액 보유), 발행 주체 자격 명확화 등
이처럼 미국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암호화폐 시장을 지원하고 있다는 점은 시장 참가자들에게 아주 긍정적인 신호로 생각할 수 있겠죠.
■ 트럼프의 암호화폐 행보와 향후 전망
이전 글에서 트럼프가 가족의 설립회사인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orld Liberty Financial, WLF)'를 통해 자체 스테이블 코인를 출시하고, 트럼프 미디어(Trump Media)에서 ETF 상품을 출시했다는 설명을 드린 적이 있습니다.
이전 글 보기
→ 트럼프는 비트코인을 키울 수밖에 없다 (1편) - USD1과 달러
→ 트럼프 2.0, 비트코인의 행방은? - 비트코인 전망과 근거
트럼프는 어쩌면 처음부터 암호화폐 시장을 키울 것이라는 힌트를 지속적으로 줬다고 생각해볼 수도 있겠네요!
이 외에도 암호화폐 시장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는 여러 수단이 있습니다.
'고래'들의 움직임 파악 등이 있는데요.
다음에는 위 내용들을 소개해보겠습니다.
오늘 글도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다음 글에서 만나요!
Compliance notice
※ KB자산운용 준법감시인 심사필 투자광고 2025_1124(다) (2025.07.18~2026.07.17)
※ 본 자료는 고객의 투자에 참고가 될 수 있는 각종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제작되었습니다. 본 자료는 계량적 분석에 근거한 의견을 제시하며, 당사의 대표 투자의견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 본 자료는 합리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된 것이지만, 투자 권유의 적합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투자 판단의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며, 본 자료는 어떠한 경우라도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본 자료는 현재의 시장 상황을 감안하여 참고용으로만 제시된 것이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자 개인의 의견이 반영된 것입니다. 당사는 관련 법령에 허용된 범위 내에서 투자 전략 및 투자 프로세스를 결정하므로, 본 자료에 기재된 사항 중 관련 법령 및 계약서의 내용과 상이한 것은 효력이 없습니다.
※ 본 자료는 당사의 저작물로서 모든 지적재산권은 당사에 귀속되며 당사의 동의 없이 복제, 배포, 전송, 변형, 대여할 수 없습니다. 본 자료를 KB자산운용 임직원 외의 자로부터 입수하였을 경우, 자료 무단 제공 및 이용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해당 제공자 및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 투자자는 투자 의사결정을 하시기 전에 반드시 집합투자규약 및 투자설명서를 수령하여 상품의 내용을 충분히 인지한 후 투자 결정하시기 바라며, 투자 전 판매 회사의 충분한 설명을 청취하시기 바랍니다.
※ 집합투자증권은 운용 결과에 따라 투자원금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집합투자증권을 취득하시기 전에 투자대상, 보수·수수료 및 환매방법 등에 관하여 (간이) 투자설명서를 반드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 이 금융투자상품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보호되지 않습니다.
※ 증권거래비용, 기타비용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KB글로벌 디지털체인경제 증권투자신탁(주식): 2등급(높은위험), 온라인일반형C-E클래스 기준 합성 총보수비용 연1.430%(판매사 0.5%, 집합투자업자 0.85%, 신탁업자 0.06%, 사무관리회사0.015%, 기타비용 0.005%), 환매수수료 없음, 17시 이전(경과 후)환매 청구 시 환매청구일로부터 4(5)영업일 기준가격으로 제 8(9)영업일에 환매대금 지급
KB자산운용
※ 전화 : 02-2167-8200
※ 메일 : answer@kba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