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펀드맵 펀드찾기

인기펀드

동안
자금유입액이 가장 많은 상품입니다.
기준일 : (운용펀드 기준)
전체보기
동안
수익률이 가장 높은 상품입니다.
기준일 : (운용펀드 기준)
전체보기
동안
클릭수가 가장 많은 상품입니다.
기준일 : (운용펀드 기준)
전체보기

검색 BEST

동안
가장 많이 검색된
검색어 입니다.
검색어 클릭 시 ‘통합검색’의 결과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기준일 : 통합검색 바로가기

장바구니

  • 최신순으로 10개까지 장바구니에 추가됩니다.
  • ‘장바구니’에 담긴 상품은 웹 캐시(cache) 삭제 시 자동 삭제됩니다.
  • 펀드 상품을 비교하려면 체크박스 선택 후 ‘선택 상품 비교’ 버튼을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최소 2개 ~ 최대 3개까지 비교 가능)

투자 아이디어

  1. Insight & View
  2. 투자 아이디어
금융현직자 이야기

트럼프 2.0, 비트코인의 행방은? - 비트코인 전망과 근거

등록일
2025-02-21
트럼프 2.0, 비트코인의 행방은?


By. KB자산운용 데사이트
- 나만의 ETF,' 다이렉트 인덱싱'의 데이터 엔지니어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 데사이트의 다른 글
→ 데이터로 알아보는 '금리와 채권 관계'

 


안녕하세요! 데이터로 인사이트를 찾는 데사이트입니다!

현 미국 대통령이 트럼프라는 사실은 모두 아실 거예요.

지난 1월 20일, 트럼프 대통령이 공식 취임식을 가졌는데요, 이날은 "나는 이제부터 미국을 이런 방향으로 이끌 것입니다!"라고 전 세계에 선언하는 아주 중요한 행사였습니다.

취임식에서 나온 발언을 통해 이번 임기 때는 어떤 정책을 펼칠지, 투자에 있어서는 어떻게 바라보면 좋을지 예측해 볼 수 있습니다.

먼저 이번 취임식의 내용을 아주 간략하게 요약해서 살펴볼까요?



■ 트럼프 취임사 주요 내용

▶ MAKE AMERICA SAFE AGAIN
· 국경 장벽 건설을 재개한다.
· 멕시코 체류 정책을 부활시킨다.
· 불법 입국자의 망명 신청을 차단한다.
· 외국인의 심사와 검증 절차를 강화한다.


▶ MAKE AMERICA AFFORDABLE AND ENERGY DOMINANT AGAIN
· '아메리카 퍼스트' 무역 정책을 발표한다.
· 바이든 행정부의 환경 규제를 철폐한다.
· 에너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에너지 인프라 구축을 강화한다.
· 파리기후협약에서 탈퇴한다.


▶ DRAIN THE SWAMP
· 불필요한 공무원 채용을 중단한다.
· 바이든 정부의 규제를 중단한다.
· 연방 직원의 대면 근무를 복귀시킨다.



정리해 보자면 위와 같았습니다.

여기에서 의아한 점이 있는데요, 트럼프는 당선 전부터 비트코인에 대해 굉장히 우호적인 자세를 보여왔습니다.

근데 막상 취임식 당일에는 코인에 대한 이야기는 쏙 빼놓고 얘기를 했습니다.


그렇다 보니 아직 성급한 결론을 내리기는 이릅니다. 여러 정황을 보면 트럼프 대통령이 여전히 코인에 대해 우호적인 입장을 유지하고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번 글을 통해 "트럼프가 쉽게 비트코인에 대한 생각을 바꿀 수 없는 이유"를 판단해 보려고 합니다.



■ 중국이 비트코인을 막은 이유

정부의 규제로 2021년에는 '비트코인' 거래량이 0%까지 떨어진 '중국'.


2019년까지는 중국이 비트코인 거래량의 대부분(약 75%)을 차지했습니다.

그런데 2021년의 수치를 보면 중국의 비중이 0.0%로 떨어져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에 반해 미국은 2019년 4% 정도의 수치에서, 2021년 35.4%까지 상승한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왜 중국과 미국은 이렇게 상반된 모습을 보였을까요?

트럼프 1기라고 불리는 지난 임기 기간 때를 돌이켜보겠습니다.

당시 트럼프는 "비트코인, 그리고 다른 암호화폐들을 지지하지 않는다"라며 트위터에 직접 글을 남기기도 하였습니다.

대통령 1기 때는 '비트코인'에 대해 부정적이었던 '트럼프'.


이랬던 트럼프가 태도가 180도 바뀌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변했습니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위 그래프에서 보듯, 2019년의 비트코인은 중국이 주도하던 시장이었습니다.

최초에는 중국이 외화(달러) 벌이 수단으로 비트코인 거래를 받아들였습니다.

그러나 갑자기 중국이 가장자산에 대한 규제를 명확히 하기 시작했습니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탈 중앙화 특성은 공산당인 중국에 위협적인 존재"


중국은 중앙 통제 국가입니다. 반면에 블록체인 기술로 만들어진 비트코인은 탈 중앙화를 기반으로 만들어졌습니다.

그런 특성에서 비트코인과 중국은 서로 반대되는 존재하고 볼 수 있습니다.



"중국 부자들의 외화 유출"

또 중국의 부자들이 외화 유출 수단으로 비트코인을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외화벌이로 생각하고 있었던 비트코인 거래가, 오히려 외화 유출 수단이 되어버린 것입니다.

2017년, 중국은 즉시 비트코인 거래 중단 조치를 내렸습니다. 게다가 중국 3대 비트코인 거래소 중 하나인 BTC 차이나를 바로 폐쇄해버렸습니다.



2017년 중국 정부에 의해 폐쇄된 'btc 차이나'.


■ 중국이 선택한 대안

그러나 계속해서 비트코인 거래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율은 커졌습니다. 바로 해외 거래소를 통해 중국인들이 계속 거래를 했던 것이죠.

2019년도에는 해외 온라인 거래도 금지시키고, 2021년 9월에는 모든 암호화폐 거래를 불법으로 규정해버렸습니다.

그리고 거기에는 꽤나 날카로운 조항이 하나 있었습니다. 바로 암호화폐 거래 시 '모든 자산 전액을 동결시키겠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이 정도까지 규제를 하니 굳이 이런 리스크를 안고 암호화폐 거래를 할 이유가 없어졌던 거죠.

그래서 2021년 중국의 비트코인 거래량 수치가 0.0%까지 떨어졌던 것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이 비트코인 대신 선택한 자산은 바로 "금"입니다.

중국의 부호들이 금이라는 자산을 선택하면서 상당히 큰 규모의 돈이 금으로 넘어가게 된 것이죠.

게다가 중국 정부도 금 보유량을 늘리기 시작한 지가 꽤 되었습니다. 중요하게 봐야 할 것은 단순히 금만 모으고 있다는 것이 아니라, 미국 국채는 줄이고 있다는 점입니다.


'중국'의 미국채와 '금 보유고' 현황을 보여주는 그래프 자료.

중국은 달러화 의존에서 벗어나고자 "탈 달러화"에 도전하고 있는데요, 이것이 중앙은행들의 금 매입을 늘린 요인 중 하나라고 보고 있습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미국이 달러를 무기 삼아 러시아 은행들을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스위프트)에서 퇴출시킨 이후,

중국뿐 아니라 다른 나라들도 미국의 달러에 의존해서는 안 된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그렇다 보니 미국의 달러 패권이 상당히 위협을 받는 중입니다.



■ 트럼프가 선택한 비트코인

이 상황에서 미국에게 비트코인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은 실제로 반감기가 적용되어 공급이 무한하지 않다는 이점이 있기에 자산군으로 선택하기에 꽤 괜찮기도 하죠.

실제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지난해 비트코인 현물 ETF를 승인했습니다.

이는 미국 규제당국이 비트코인의 가치를 사실상 인정했다는 의미이기도 하면서, 비트코인이 제도권 안으로 들어왔다는 의미로도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에서 트럼프는 쉽게 비트코인을 등질 수 없을 것입니다.

그리고 사실 취임식에서의 모습은 실제 트럼프의 행보와 많이 다릅니다. 트럼프의 최근 행보를 몇 가지 살펴볼까요?

직접 자신의 밈코인을 만든 '트럼프' 대통령.


트럼프는 최근 직접 자신의 '밈코인'(인터넷 밈에서 유래했거나 재미를 목적으로 만들어진 가상자산)을 발행했습니다.

처음에는 투자자들도 가짜가 아니냐 했지만, 본인의 공식 트위터에 글을 올리면서 가격도 함께 급등했었죠.

이 트럼프 코인은 심지어 "Trump Organization"이 상당한 비중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Trump Organization"는 트럼프의 아들들이 경영하고, 트럼프가 소유하고 있는 회사입니다.


트럼프는 사업으로 먼저 성공했던 사람이라 '돈을 어떻게 벌고 관리할지'에 대해 상당한 노하우가 있을 겁니다.

그런 트럼프가 본인의 코인을 만들고 보유한다는 건, 암호화폐를 띄워주겠다고 신호를 준 셈입니다.

게다가 최근 트럼프 미디어는 트루스(Truth).Fi 브랜드로 비트코인 ETF를 포함한 투자 상품 출시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심지어 상표권 등록도 완료되었다고 하는데요. 발표한 ETF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Truth.fi Made in America ETF
- 2. Energy Independence ETF
- 3. Bitcoin Plus ETF



세 가지 중 마지막에 보시면 비트코인과 관련된 ETF 임을 알 수 있습니다.

트럼프는 애초에 숨기지 않고 비트코인을 밀어줄 것이라고 얘기하는 거나 다름없어 보입니다.

이러한 근거들을 살펴보았을 때, 트럼프 2기 시대에는 비트코인의 행방이 꽤 긍정적일 거라는 예측을 해볼 수 있습니다.

물론 모든 투자 행위에 있어 언제나 '예측'대로 흘러가기만 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게다가 비트코인은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본인의 자산 중 너무 많은 비중을 투자하면 위험에 크게 노출될 수도 있으니 주의해야겠죠?



지금까지 트럼프 2.0 시대에는 비트코인이 어떻게 흘러갈까에 대한 얘기를 해봤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최근 트럼프가 강하게 밀고 있는 "관세정책"에 대해서 다뤄보려 합니다! 다음에 또 만나요!


By. KB자산운용 데사이트

(25.02.14 작성)

kb자산운용 내부 인플루언서인 '데사이트'.

 



Compliance notice
※ KB자산운용 준법감시인 심사필 '투자광고 2025_223(다)'
※ 본 자료는 고객의 투자에 참고가 될 수 있는 각종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제작되었습니다. 본 자료는 계량적 분석에 근거한 의견을 제시하며, 당사의 대표 투자의견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 본 자료는 합리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된 것이지만, 투자 권유의 적합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투자 판단의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며, 본 자료는 어떠한 경우라도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본 자료는 현재의 시장 상황을 감안하여 참고용으로만 제시된 것이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자 개인의 의견이 반영된 것입니다. 당사는 관련 법령에 허용된 범위 내에서 투자 전략 및 투자 프로세스를 결정하므로, 본 자료에 기재된 사항 중 관련 법령 및 계약서의 내용과 상이한 것은 효력이 없습니다.
※ 본 자료는 당사의 저작물로서 모든 지적재산권은 당사에 귀속되며 당사의 동의 없이 복제, 배포, 전송, 변형, 대여할 수 없습니다. 본 자료를 KB자산운용 임직원 외의 자로부터 입수하였을 경우, 자료 무단 제공 및 이용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해당 제공자 및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이전글
최근 이슈들과 투자 전략 - 퇴직연금 안전자산 한도 폐지, ISA, 연금계좌 해외펀드 배당 이중과세 논란
다음글
게시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