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펀드맵 펀드찾기

인기펀드

동안
자금유입액이 가장 많은 상품입니다.
기준일 : (운용펀드 기준)
전체보기
동안
수익률이 가장 높은 상품입니다.
기준일 : (운용펀드 기준)
전체보기
동안
클릭수가 가장 많은 상품입니다.
기준일 : (운용펀드 기준)
전체보기

검색 BEST

동안
가장 많이 검색된
검색어 입니다.
검색어 클릭 시 ‘통합검색’의 결과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기준일 : 통합검색 바로가기

장바구니

  • 최신순으로 10개까지 장바구니에 추가됩니다.
  • ‘장바구니’에 담긴 상품은 웹 캐시(cache) 삭제 시 자동 삭제됩니다.
  • 펀드 상품을 비교하려면 체크박스 선택 후 ‘선택 상품 비교’ 버튼을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최소 2개 ~ 최대 3개까지 비교 가능)

투자 아이디어

  1. Insight & View
  2. 투자 아이디어
금융현직자 이야기

글로벌 IT 트렌드를 엿보는 시간 - 'CES 2025' 행사 리뷰해 보기

등록일
2025-02-07

글로벌 IT 트렌드를 엿보는 시간
CES 2025 행사 리뷰해 보기



By. KB자산운용 오통수
- 기업들의 퇴직연금(DB) 자금 운용을 위한 투자상품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 오통수의 다른 글
'미국주식 절세 방법 총정리'

 



■ 세계 3대 IT 전시회 : CES 2025

안녕하세요! 올해도 여러분들의 투자에 함께할 투자 파트너, 오통수입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올해도 저와 함께 성투하시길 기원하겠습니다!


매년 초가 되면 전 세계 IT 업계가 주목하는 행사가 열립니다. 불과 한 달 전만 해도 뉴스에 계속 회자되었던 "CES"입니다.

그동안 많은 분들께서 뉴스에서 한 번쯤은 들어봤을 만한 큰 행사이죠.

CES는 Consumer Electronics Show의 약자로,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IFA(Internationale Funkausstellung Berlin),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MWC(Mobile World Congress)와 함께 세계 3대 테크 전시회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올해는 작년보다 참여 기업 수가 약 30% 정도 늘어날 정도로 규모가 매우 커졌다고 합니다.

'ces 2025' 행사의 주요 개요들을 설명해주는 표 자료.

CES 2025 행사 개요를 간단히 정리해 보았는데요, 전시장 규모도 어마어마하고 참가국도 무려 158개국이나 됩니다.

이 CES 행사에서 매년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섹션은 바로 "기조연설"입니다.

기조연설은 IT업계를 관통할 주제와 미래 산업 발전 방향을 미리 엿볼 수 있는 시간이기에, 많은 사람들이 주목하는 메인이벤트입니다.

특히 기조 연설자는 IT 시장 트렌드를 선두하는 전문가만이 연설자로 나갈 수 있습니다.

과거 연설자로는 마이크로소프트, 인텔, GM, BMW와 같은 기업들의 CEO가 있었죠.

그리고 올해는 2017년 CES에서 이미 AI 시장에 대한 주제로 발표를 했었던 엔비디아 CEO 젠슨 황이 기조 연설자로 나왔습니다.

이 외에도 엔비디아와의 AI 파트너십으로 화제가 된 엑센츄어 CEO인 Julie Sweet와 볼보 CEO, Martin Lundstedt 도 기조연설을 하였고요.

내로라하는 각 기업들의 CEO가 직접 미래 기술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인 만큼, 저도 이 기조연설이 가장 기대가 되었었습니다.



■ CES 2025 리뷰하기
Best of Innovation Awards 수상작 정리

CES에서는 매년 최고혁신상이라고 불리는 Best of Innovation Awards을 시상합니다.

올해에는 총 19개의 제품과 서비스가 선정되었는데, 그중 무려 7개의 기업이 국내 기업이었습니다.

어떤 기업들이 무슨 제품으로 선정될 수 있었는지 한 번 정리해 보았습니다.

'ces 2025' 행사에서 최고혁신상을 수상한 주요 기업들의 제품.

ces 2025에서 '최고혁신상'을 수상한 대한민국 기업들.


수상작들을 보니 AI를 접목하여 독서를 하거나, 치료를 하거나, 보안을 강화하는 등, AI 기술을 어떻게 우리 생활에 활용하였는지가 주요 맹점인 것 같습니다.

이제 AI는 더 이상 미래 기술이 아니라 현재 진행형인 기술이 되었으며, 우리 삶 속에 깊게 스며들고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실감할 수 있었습니다.



■ CES 2025 : DIVE IN
AI와 각 산업의 만남은 어떨까

ces 2025 행사의 주제였던 'dive in'.


이번 CES 2025의 주제는 "DIVE IN"이었습니다.

각 기관마다 이를 해석하는 방법도 여러 가지였는데요, CES 2024에서는 인공지능(AI) 자체가 주목받았다면, 이번 CES 2025에서는 AI가 우리 생활에 얼마나 활용되고 스며들었는지가 관건이었습니다.

즉, AI가 우리 삶에 얼마나 깊게 DIVE 되어있는지를 확인하는 자리가 되었습니다.

CES2025의 내용을 토대로 'AI'라는 키워드를 각 산업에서 어떻게 접목할 수 있는지, 그리고 관련된 대표 기업들에는 무엇이 있는지 확인해 볼까요?


'ces 2025' 행사 전경을 담은 사진.


▶ 1. 초연결 인프라 활용 - 스마트 팩토리

AI 기술은 산업 간의 경계를 재편성하거나 통합하고 있으며, 데이터를 자유롭게 연결하거나 활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사람과 사물이 물리적 공간의 경계가 없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상호작용하는 인프라를 형성했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스마트팩토리'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IoT 센서와 디바이스가 공장 내 모든 기계, 작업 환경, 제품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데이터를 공유하는 형태의 팩토리를 스마트 팩토리라고 합니다.

특히, 클라우드 기술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해 빠른 의사결정을 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죠.

그렇다면 대표 기업으로는 어떤 기업이 있을까요? 바로 독일의 Bosch입니다.

Bosch는 세계 최초로 개발한 '총기 감지 AI 시스템(Gun detection System AI)'으로 CES 2024 최고혁신상을 수상했던 기업이기도 한데요.

공장 자동화, 디지털화 및 인공지능을 위한 솔루션 포트폴리오를 통해 다양한 기업들이 혁신을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 2. 윤리적 보안 강화 - 사이버 보안

AI의 발전은 윤리적, 혹은 보안의 문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AI 기술의 리스크를 보완하는데 활용되는 기술을 사이버보안 기술이라고 합니다. 데이터를 보호하고 시스템 보안을 강화하여 리스크 해소에 직접적으로 기여합니다.

특히 암호화된 데이터와 보안 기술을 통해 외부 공격으로부터 민감한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죠

이 사이버보안 기술 관련 대표 기업으로는 앞서 소개한 SK텔레콤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모바일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협들을 탐지하고 대응하기 위해서 AI 기반의 사이버 위협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을 활용합니다.

예를 들면, 딥러닝 구조 기반 악성 문자 탐지, AI 봇 기반 SNS 사기 방지 등 과같이 AI를 활용하여 보안 시스템을 구축하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드론과 관련된 국내 기업인 '니어스랩'.


▶ 3. 모빌리티의 혁신 - 드론

CES 2025의 공식 메인 테마 중 하나인 모빌리티는 자율주행, 차량 소프트웨어 등 AI 기술과 모빌리티가 만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고 있습니다.

AI는 모빌리티 산업을 더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개선하고 있으며, 이전과 다른 교통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하는 중입니다.

드론과 관련된 국내 기업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Nearthlab이라는 스타트업인데요. 이번 CES 2025 최고혁신상을 수상한 기업이기도 합니다.

이 회사는 AI 기술에 기반한 자율주행 소프트웨어와 직접 개발한 드론을 활용하여 사업을 확장하고 있는데요. 자율비행 드론을 무인화해서 경찰 관제 시스템에 연동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현장에서 즉각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달하여 경찰의 현장 대응력을 강화시켰다고 볼 수 있습니다.



▶ 4. 디지털 헬스 - AI 진단

의료분야의 AI 도입은 진단 정확도를 늘리고 치료 접근성도 향상시켜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자들의 삶의 질 또한 개선할 수 있겠죠.

특히 AI와 빅데이터가 결합하여 개인별 특성을 고려한 초정밀 의료 서비스도 가능해지고 있으며, 질병이 발병하기 전에 미리 예방할 수 있도록 건강관리를 돕는 기술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AI 진단과 관련된 기업과 제품으로는 한양대학교 연구실에서 개발한 디지털 이명 치료 기기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VR을 활용하여 AI로 생성된 입체 음향을 통해 이명 증상을 치료하는 기술인데요. 이전에는 이명을 약물로만 치료했었는데, AI 기술을 활용하니 새로운 치료법이 생긴 것입니다.

새삼 AI가 정말 다방면으로 쓰이고 있구나를 느낄 수 있겠더라고요.



■ 마무리하며
이젠 AI가 없던 삶으로 돌아갈 수 없어요

지금까지 저와 함께 CES 2025의 몇 가지 내용들을 정리해 보았는데요, 어떠신가요? 아무래도 AI가 메인 테마이다 보니깐 AI 얘기를 많이 한 것 같습니다.

저도 사실 AI 기술이 이렇게까지 실용적으로 쓰이고 있었는지 이번 글을 쓰기 전까지는 실감하지 못했는데요.

이번 기회로 AI 기술이 산업, 실생활, 의료 분야까지 모두 큰 영향력을 주고 있구나라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그렇기에 이번 CES 2025가 더 큰 의미를 가지는 것 같습니다.

특히 국내 기업들도 CES 2025 최고 혁신상에 이름을 두루 올린 것을 보니 국뽕도 충전한 기분이었습니다.

저와 함께 다뤄본 AI 관련 각 분야들에 대해서 독자분들도 더 공부해 보신다면 좋은 투자 인사이트를 얻으실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까지 오통수였습니다!


By. KB자산운용 오통수

(25.01.23 작성)

kb자산운용의 내부 필진 중 한명인 '오통수'.

 



'kb 글로벌 ai 플랫폼' 펀드 홍보 배너.


Compliance notice
※ KB자산운용 준법감시인 심사필 '투자광고 2025_131(다)'
※ 본 자료는 고객의 투자에 참고가 될 수 있는 각종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제작되었습니다. 본 자료는 계량적 분석에 근거한 의견을 제시하며, 당사의 대표 투자의견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 본 자료는 합리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된 것이지만, 투자 권유의 적합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투자 판단의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며, 본 자료는 어떠한 경우라도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본 자료는 현재의 시장 상황을 감안하여 참고용으로만 제시된 것이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자 개인의 의견이 반영된 것입니다. 당사는 관련 법령에 허용된 범위 내에서 투자 전략 및 투자 프로세스를 결정하므로, 본 자료에 기재된 사항 중 관련 법령 및 계약서의 내용과 상이한 것은 효력이 없습니다.
※ 본 자료는 당사의 저작물로서 모든 지적재산권은 당사에 귀속되며 당사의 동의 없이 복제, 배포, 전송, 변형, 대여할 수 없습니다. 본 자료를 KB자산운용 임직원 외의 자로부터 입수하였을 경우, 자료 무단 제공 및 이용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해당 제공자 및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이전글
펀드, ETF 투자 '환 전략' 점검이 필요한 시기 - (H, UH) 펀드, ETF 라인업 총정리
다음글
국내외 주식과 채권 2월은 어떨까? - 펀드매니저 인사이트